질문: DNS 가 뭐고, DNS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1) DNS 개념
호스트 도메인 네임(www.a.com)을 네트워크 주소(1.1.1.1)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의 수행하는 시스템
지구별소녀 언어로 재정의
: 호스트 도메인 네임과 IP 서버가 맵핑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도메인을 IP로 혹은 IP를 도메인으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2) DNS 출시 배경
우리가 복잡한 숫자(네트워크주소,IP)를 외우기 힘드니, www.a.com과 같이 별명을 지어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고 접근하기 쉽게 하는 시스템
(3) DNS 동작원리
3-1. 간단 동작원리
3-2. 자세한 동작 원리
0. 웹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가장 먼저 웹 브라우저는 방문한 적이 있는 지 확인한다
브라우저 캐시를 보고 없으면
OS에서 제공하는 DNS 캐시 테이블에서 보고 없을 경우, (윈도우DNS 캐시 테이블: cmd에서 ipconfig /displaydns로 조회 가능)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IP가 있는지 hosts 파일을 본다
1. PC에 저장된 Local DNS서버에게 www.naver.com라는 주소를 요청한다.
그럼 Local DNS에는 www.naver.com의 IP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Local DNS에 캐시가 있다면) 바로 PC에 IP 주소 1.1.1.100를 주고 끝난다(1번->8번으로 이동)
참고. 요청을 받을 때마다 매번 DNS 질의를 할 수 없으므로 캐싱하는 것이다.
(없다면) www.naver.com 의 IP를 찾아내기 위해 2번 과정으로 간다. 전 세계 도메인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DNS 서버 종류를 계층화해서 단계적으로 처리 진행한다.
* 여기서 Local DNS 서버란?
Client와 네임 서버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는 DNS 서버로 인터넷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은 따로 없는 캐싱 전용 서버이다.
2. Local DNS는 www.naver.com 의 IP주소를 찾아내기 위해 다른 DNS 서버들과 통신을 시작한다.
먼저, Root DNS 서버에게 www.naver.com 의 IP주소를 묻는다.
* 여기서 Root DNS 서버란?
트리의 제일 꼭대기에 있는 최상위 도메인으로써 TLD DNS 서버 IP들을 저장하고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
Generic GTLD(일반 TLD) - .com , .net, .info 등
Sponscored GTLD (스폰서 TLD) - .edu, .tel 등
.... 등
3. (없다는 가정하에) Local DNS 서버에게 www.naver.com 의 ip는 찾을 수 없다고 다른 DNS에게 물어봐라고 응답한다.
이 때 여기서 다른 DNS 서버란, .com을 관리하는 TLS DNS 서버(최상위 도메인 서버)이다.
* 여기서 TLS DNS 서버란?
.com이나 .co.kr 같은 도메인 네임의 가장 마지막 부분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4. 이제 Local DNS는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TLS DNS 서버에게 www.naver.com 에 대한 IP 주소를 요청한다.
5. (없다는 가정하에)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도 정보가 없으면 다른 DNS 서버에게 물어봐라고 응답한다.
이 때 여기서 다른 DNS 서버란, naver.com DNS 서버(Authoritative DNS 서버)이다
* 여기서 Authoritative DNS 서버란?
일반적으로 도메인/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를 말하지만, 개인이나 회사 DNS 서버를 구축한 경우에도 이에 해당한다.
도메인/호스팅업체 예: 가비아 등
6. 이제 Local DNS 서버는 naver.com DNS 서버(Authoritative DNS서버)에게 다시 www.naver.com 의 주소를 요청한다.
7. naver.com DNS 서버에는 www.naver.com 의 IP주소가 있다.
그래서 Local DNS 서버에게 www.naver.com 에 대한 IP 주소는 222.122.195.6라고 응답한다.
8. 이를 수신한 Local DNS는 www.naver.com의 IP 주소를 캐싱을 하고 이후 다른 요청이 있을 시 응답할 수 있도록 IP 주소 정보를 단말 PC에 전달해준다.
이렇게 Local DNS 서버가 DNS 서버에 차례대로 Root DNS 서버 -> TLS DNS 서버(.com) -> Authoritative DNS 서버(naver.com)요청하여 그 답을 찾는 과정을 재귀적 쿼리(Recursive Query)라고 한다.
3-3. Summary
참고. 출처 및 이해에 도움을 준 사이트
https://onlywis.tistory.com/14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이란?
FQDN은 '절대 도메인 네임' 또는 '전체 도메인 네임' 이라고도 불리는 도메인 전체 이름을 표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웹 사이트 주소를 예로 들어보자. 1. www.tistory.com 2. onlywis.tistory.com 위의 두 주
onlywis.tistory.com
https://inpa.tistory.com/entry/WEB-🌐-DNS-개념-동작-완벽-이해-★-알기-쉽게-정리#dns_서버_종류
https://www.wisewiredbooks.com/csbooks/ch3-network-internet/dns.html
DNS - 여러분이 google.com을 칠 때 - 웹 부트캠퍼 개발자를 위한 컴퓨터 과학
IP는 IP주소로 목적지를 찾아가는 프로토콜이다. 그럼 csbooks.wisedog.net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패킷을 싣어 보낼때, IP주소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해답은 바로 DNS(Domain Name System)다. 여러분은 옆 자
www.wisewiredbooks.com
https://gentlysallim.com/dns란-뭐고-네임서버란-뭔지-개념정리/
DNS란 뭐고, 네임서버란 뭔지 개념정리 | 살살살림
DNS란 건 뭐고, DNS 서버란 건 뭐고, 네임서버란 건 뭐고 이름부터 혼란스러운 개념. 사용자의 입장에서 왜 DNS 역할이 필요한지와 추천할 만한 무료 네임서버에 대해서 알.아.보.자.
gentlysallim.com
https://velog.io/@cieroyou/DNS-%EC%9D%B4%ED%95%B4%ED%95%98%EA%B8%B0
https://m.blog.naver.com/jabel123/220698236055
DNS) 캐시전용 네임 서버
DNS(Domain Name System)는 우리가 웹브라우저나 FTP클라이언트를 사용할때 IP주소가 아닌 ...
blog.naver.com
https://infraleesh.tistory.com/11
캐싱 DNS 서버
캐싱 (전용) 네임서버=캐싱 (DNS 전용) 네임 서버=캐싱전용 네임 서버=Caching-Only Nameserver : PC에서 URL로 IP 주소를 얻고자 할 때 해당하는 URL의 IP주소를 알려주는 네임서버를 의미한다. 왼쪽그림의
infraleesh.tistory.com
https://222tistory.tistory.com/80
DNS 동작 방식
DNS를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라 하는 것은 도메인 각 계층별로 네임서버를 두고 분산해서 도메인 정보를 관리하기때문이다. w forward dns lookup revers dns lookup DNS 서버 질의 순서 1.로컬 DNS 캐시
222tistory.tistory.com
강추사이트
https://velog.io/@zinukk/9kpyzbdt
DNS(Domain Name System)란?
데이터를 받아오는 과정 1. 사용자가 www.naver.com을 입력하면 입력한 URL 주소 중,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www.naver.com을 DNS 서버에서 검색 웹 브라우저는 DNS 서버에 검색하기 전에 캐싱된 DNS 기록들
velog.io